K패스 카드 추천 2가지 비교 발급 가입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 등록 및 전환)


0
Categories : 필수 생활정보

K패스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성인들을 위한 대한민국 교통카드 중 하나입니다. 할인 기능을 요약적으로 말한다면, <매월 15회 이상 탑승 시 최대 60회까지 😀 교통비의 20~53%를 적립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말합니다. (경기패스, 인천패스 등은 혜택이 더 큽니다!)

전국 17개 시도 189개 지자체에서 참여중인 사업이기도 하구요!

K패스-참여지역-지도사진

★K-패스 마일리지 적립금은 K-패스 사업참여 대상지역 거주자만 이용가능합니다.(아래에서 확인)
★K패스 가입대상: 속초 등 일부 인구수 10만명 이하 지자체 거주민 제외됨ㅠㅠ

▼ K패스 지원 대상 지역

  • 서울 전체
  • 경기 전체
  • 인천 전체
  • 강원도(10개 지역: 춘천, 강릉, 원주, 양양, 홍천,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 충북 전체
  • 충남 전체
  • 세종 전체
  • 대전 전체
  • 경북(10개 지역: 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경산, 안동)
  • 전북(6개 지역: 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정읍)
  • 대구 전체
  • 광주 전체
  • 경남 전체
  • 울산 전체
  • 부산 전체
  • 전남(10개 지역: 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광양, 나주, 담양, 장성)

K패스 이용 지원대상

K-패스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

K패스 적립수단

전국 모든 대중교통이 해당됩니다.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단, 다음의 교통수단은 제외됩니다.
▶제외대상: 시외버스, 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로 탑승권을 발급받는 교통수단

K패스 지급 기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최대 60회 까지 지급

  • 가입 첫달은 15회 미만 이용시에도 지급됨!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원 초과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지급
경기패스, 인천패스의 경우 월 15회 이상 ~ 무제한 환급★

K패스 적립률 또는 환급률

일반: 대중교통비의 20% 적립 또는 환급
청년: 만 19~34세는 대중교통비의 30% 적립 또는 환급
저소득: 대중교통비의 53% 적립 또는 환급

청년: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 19세~34세
저소득층: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말함

  • 경기패스, 인천패스의 경우 청년층 확대★ : 만 39세까지 청년층 적립금액 적용
  • (인천패스만 있는 혜택!) 또한, 인천패스의 경우 어르신이라고 하여 [65세 이상]은 월별 교통비의 30%를 환급받음!
한달-대중교통비-환급비용

K 패스 이용방법

케이패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2가지로 나뉠 수가 있습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가 폐지되고 K패스로 전환된 거기 때문에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2번을 읽으시면 되며, 신규 가입자라면 1번을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1. K패스 신규 가입자
  2.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1. K패스 카드 신규가입하기

K패스카드 또는 알뜰교통카드를 준비합니다.
1▶ K패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2▶ K패스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면 자동으로 이용금액의 일정비율이 적립 및 지급되게 됩니다.

▶▶2.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 K패스로 전환하기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패스 회원전환을 하시면 되는데요. 이경우 기존에 사용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을 그대로 K패스에서 사용이 가능하시답니다.

전환 날짜에 따라 혜택 적용일이 다를 수가 있는데요. 4월 30일까지 회원전환을 하시지 않는 경우에는 알뜰교통카드로서의 혜택은 회원전환일 또는 K패스 신규 가입일로부터 혜택이 적용됩니다.

  • 알뜰교통카드 적립: 2024년 4월 30일 이용내역까지
  • 전환 기간: 2024년 6월 30일까지 홈페이지에서 전환하시면 됩니다. (전환일부터 K패스 환급이 적용됨)
  • K패스 적용: 2024년 5월 1일 이용내역부터 K패스로 혜택 적용됨 (2024년 5월 1일 이후 전환할 경우 전환일부터 적용됨)

▶5월 1일부터는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앱은 없어지고 K패스로 변경됩니다.

아직도 잘 모르겠는데? 다시 요약정리해드릴께요!😃

기존에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관련 카드를 발급받고 버스 이용시 마다 앱에 접속하여 출발/도착 버튼을 누르며 이용해야만 적립이 되는 불편한 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개편된 K패스는 버스에서 다양한 대중교통으로 확대되었고, 출발/도착 버튼 이런거 하나도 안해도 카드만 태그해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자동으로 일정 비율만큼 환급이 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사용조건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되구요! 최대 60회까지 지급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즉 매달 30일에 2회씩 이용하시는 분들까지 지급이 가능하다는 거지요!

일반인/청년층/저소득층에 따라 환급 비율이 다르구요! 20%/30%/53%

  • 저소득층은 증빙서류를 제출하여 서류 검증 통과 시 적용돼요.
  • 경기패스와 인천패스는 청년층 연령이 더 확대돼요.
  • 인천패스만 어르신 카테고리가 있고, 65세 어르신은 환급 비율이 30%가 있어요!

그럼 매월 나는 얼마 환급 받을 수 있을까?
매월 평균 교통비가 7만원 정도 나온다고 하면, 연간 환급비용은 일반인 17만원, 청년 25만원, 저소득층은 44만원을 환급받으실 수가 있다는 개념입니다! (월마다는 약 1.4만원, 2만원, 3.6만원!)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가입이 어렵지 않을까?
어렵지 않아요! K패스에 회원가입을 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므로, 회원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그런데 가입시K패스 카드번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장 먼저 할 일은 K카드부터 발급받아야 한답니다. 그리고 카드를 수령하신 다음, K패스 홈페이지에서(링크) 회원가입을 하세요!

1. 카드 발급 먼저!
2. 그다음에 K패스 인터넷 홈페이지(모바일(스마트폰)도 가능)에 접속해 해당 카드를 등록하고 회원 가입하기!

카드는 어디서 발급받아? K패스 카드 1개만 있는거지?
아니에요! 카드는 각종 카드사에서 각종 혜택을 버무려 상품으로 출시하고 있어서 23개 이상이 되요! 그래서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카드사나 새롭게 사용하고 싶은 카드사에서 각종 혜택을 확인하여 본인에게 맞는 카드발급을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카드사마다 환급액을 적립해주느냐, 지급하느냐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잘 확인해보시고 본인에게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카드사 마다 다른 자동 환급 방식>

  • 계좌입금
  • 결제금액 차감

<11곳의 카드사>

k패스카드를-발급받을-수-있는-11개카드사-로고들
  • 티머니
  • KB국민카드
  • 비씨카드
  • 하나카드
  • 우리카드
  • 삼성카드
  • 신한카드
  • 현대카드
  • 농협카드
  • DGB유페이
  • 이동의즐거움

K패스 카드 종류 보기(링크)

  • 만약 모바일 페이로 카드를 등록하시는 경우에는 결제방식을 선불이 아닌 후불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선불형 교통카드: 미리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
    • 후불형 교통카드: 사용한 금액만큼 신용카드에 청구되는 방식

K패스 카드 고르기 힘들죠?
K패스카드 추천✔✔ 확인하기

K패스카드는 신용카드/체크카드가 있는데요. 신용카드는 연회비와 전월실적을 만족해야 한다는 점이 단점이긴 합니다만 그마만큼 혜택도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연회비와 전월실적이 없는 체크카드도 있습니다. 단 이경우 할인대상이 적어기지긴 합니다만 오로지 교통카드로 사용하는 편리함이 있겠습니다.

참고로 현대카드와 삼성카드는 신용카드만 있습니다. 어떤걸 선택하야 할지 모르겠다면 첫 가입 혜택 이벤트가 있는지 카드사 이벤트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각종 혜택에 맞추기보다 자신의 소비 패턴을 먼저 알고 그에 맞은 K패스 카드를 신청하고, 교통비도 절약받는 것이 최종 목표라는 사실을 잊지 않기를 바라겠습니다.

💥 혜택을 모두다 비교하기에는 머리가 좀 아프므로 제가 2가지 추천해드릴게요. 제가 볼때 체크카드 중에서는 [케이뱅크K패스]를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케이뱅크-케이패스카드-실물
신한카드-케이패스카드-실물

<케이뱅크 MY체크카드(K-패스) 혜택 정리>

  1. 대중교통 캐시백: 매월 사용하는 대중교통비가 월 5만원 이상인 경우 > 매월 3천원 캐시백
    ✔단 조건 있음 > 전월실적 30만원(대중교통 이용금액 미포함) 이상인 고객만 가능
    ✔전월 대중교통 이용금액은: 전월 2일부터 당월 1일까지 후불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MY체크카드로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요한 금액을 기준으로 함
    ✔제외대상: 대학등록금, 아파트관리비, 상품권 및 기프트카드 결제금액, 각종 수수료, 이자, 제세공과금, 사회보험료, 해외 및 교통카드 이용금액, 임대료
  2. 모든 은행, GS25편의점에서 ATM 수수료 무료
  3. 매일 최대 5천원 할인, 매월 최대 15만원까지 10가지 혜택 영역에서 결제할 때마다 최대 300~500원 캐시백
    ✔캐시백 대상 가맹점에서 최소 5천원 이상 결제시, 최대 500원 캐시백 지급
    ✔단 전월 시절 30만원 이상인 사람만 500원 지급
    ✔단 전월 실적 조건 없이는 300원 지급
    ✔캐시백은 각 영역별 1일 1회 기준으로 제공
    ✔캐시백 대상 가맹점은 BC카드에 등록된 가맹점 업종★★★★★
    ✔캐시백 지급은 1일 1회 결제계좌로 입금됨
케이뱅크 k패스카드(카드명: my체크카드) – 캐시백 영역 및 대상 가맹점
편의 ∙ 생활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 올리브영, 다이소, 노브랜드
커피 ∙ 음료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메가커피, 이디야, 빽다방, 공차, 메머드커피
패스트푸드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서브웨이, KFC, 맘스터치, 쉐이크쉑
베이커리 ∙ 디저트파리바게뜨, 던킨도너츠, 뚜레쥬르, 이삭토스트, 베스킨라빈스, 설빙
패션지그재그, 무신사, 에이블리, 브랜디, SSF, W컨셉, ZARA
영화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도서교보문고, 영풍문고, 알라딘, Yes24
택시카카오택시, 타다
OTT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어학YBM (TOEIC 등 어학시험)
일부 브랜드 자체 앱 결제(오더/딜리버리 서비스 등) 및 기타 온라인 결제 시 캐시백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예. ‘해피오더’ 앱을 통한 주문/결제 시 캐시백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내 매점 결제 건은 캐시백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의 경우 공식 앱 및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신청한 정기 결제 건에 한하여 캐시백이 제공됩니다. (온라인 간편결제 및 1회성 일반구매 또는 앱스토어를 통한 인앱 결제 건 등은 제외)
어학시험 응시료의 경우, 와이비엠넷을 통한 응시료 결제 시 캐시백이 제공됩니다.
BC의 가맹점 정책에 따라 가맹점의 주요 서비스 외 멤버십 및 구독 수수료 결제는 캐시백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신용카드의 경우 첫 가인 이벤트를 하고 있는 [신한카드 K패스카드(카드명: 티머니 Pay&GO 신한카드)] 입니다.

<신한카드 티머니 Pay&GO 신한카드 혜택 정리>

▶이벤트1 – 10만원 이상 이용시 6만원 캐시백
◇행사기간: 2024년 6월 1일 ~ 2024년 6월 30일
◇행사대상: 최근 6개월 이내(2023.12~2024.05) 모든 신한카드 개인신용카드 이용이력이 없는 고객
◇캐시백지급일: 2024년 7월 말 본인 결제계좌로 지급

◆참여방법 1단계: 행사기간 내 [응모하기]로 응모 완료(미응모 시 행사대상에서 제외)
◆참여방법 2단계: 행사기간 내 ‘티머니pay&go 신한카드’로 10만원 이상 이용

※행사 제외대상, 이용금액기준, 세부조건 등은 아래에서 확인
✔이용이력: 후불 하이패스/무승인 결제건도 포함됨
✔이용금액 가능 예시: 이용금액은 일시불 및 할부 이용금액에 한함.
✔이용금액 불가능 예시: 가족카드 결제, 상품권/기프트카드 등 현금성 결제금액, SMS이용료, 쿠폰 적용 및 포인트 이용, 국세/지방세, 수도요금 4대보험, 아파트관리비, 단기카드대출, 장기카드대출, 연회비 납부 금액, 승인전표 미매입, 결제 취소 건 등
*쿠폰 적용/포인트사용 등의 혜택 금액을 제외한 최종 카드 결제 금액 기준, 행사 기간 내 승인된 금액에 한함
✔무승인 결제건 예시: 대중교통, 이동통신 등 자동납부, 문자알림 서비스, 포인트 이용건 등
✔신용카드 다른 이벤트 혜택을 받은 고객은 혜택이 지급되지 않음
✔다른 이벤트 혜택 예시: 미이용 회원 이벤트, 연회비 캐시백 이벤트, 친구추천 이벤트 등
✔온라인(PC, 모바일)을 통해 대상카드를 발급한 회원에 한하여 행사 직전 3개월 부터 행사 종료일 이내(2024.03~2024.06) 온라인 채널이 아닌, 카드모집인, 은행채널, 오프라인 채널에서 카드 소지시 본 행사참여 대상 제외

▶이벤트2 – 티머니GO 30% 할인쿠폰(최대 5천원) 2매
◇행사기간: 2024년 5우러 1일 ~ 2024년 6월 30일
◇행사내용: 티머니GO 30% 할인쿠폰 2매 즉시 지급(티머니 제공)
– 쿠폰1: 고속/시외버스 30% 할인쿠폰 1매(최대 5천원)
– 쿠폰2: 택시 30% 할인쿠폰 1매(최대 5천원)

<연회비> 국내전용 1만 5천원, 해외겸용 1만 8천원
<이용 혜택>

1. K패스

2. 교통서비스 할인(모바일 티머니)
–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30% 결제일 할인
– 모바일티머니 앱 내 교통카드 서비스에 해당 카드를 등록 후 사용해야만 가능
– 앱 다운로드/설치 후 [신용카드 등록하기] 메뉴에서 해당 실물카드 등록 > 또는 메인화면 모바일티머니 카드 메뉴에서 [후불청구형 서비스 전환] 선택 후 [티머니 pay&go 신한카드] 실물카드 등록
– 교통카드 이용 방법: 대중 교통 이용시 휴대폰 뒷면을 결제단말기에 태그하면 됨
✔단, 전월실적 이용금 반영함. 없으면 안됨..ㅠㅠ
✔전월이용금액 30만원 이상~50만원 미만: 교통서비스 할인 7천원
✔전월이용금액 5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 교통서비스 할인 1만 2천원
✔전월이용금액 100만원 이상: 교통서비스 할인 1만 8천원

3. 4대 백화점 5% 결제일 할인
– 백화점: 현대, 신세계 롯데, 갤러리아 백화점 (오프라인매장만)
– 할인 전 이용금액 1회 10만원 까지 할인 적용, 일 1회, 월 2회 할인 적용

4. 5대 편의점 5% 결제일 할인
– 편의점: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 (오프라인매장만)
– 할인 전 이용금액 1회 1만원까지 할인 적용, 일 1회, 월 5회 할인 적용

5. 이동통신요금 자동이체 5% 결제일 할인
– 이동통신: SKT, KT, LGU (알뜰폰x)
– 할인 전 이용금액 1회 5만원 까지 할인 적용, 월 2회

6. 커피전문점 5% 결제일 할인
– 커피전문점: 스타벅스, 커피빈, 카페베네, 투썸플레이스, 엔젤리너스
– 할인 전 이용금액 1회 1만원까지 할인, 일 1회, 월 8회 할인

▶▶▶단, 위 3~6번 할인은 전월 이용금액 별 월간 통합 할인 한도가 정해져있음
✔전월이용금액 30만원 이상~50만원 미만: 5천원
✔전월이용금액 5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 1만원
✔전월이용금액 100만원 이상: 1만 5천원

    결론은 <정리해볼게요>
    ① 신한카드 티머니-K패스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이벤트1번 혜택을 얻으려고 연회비 1만 5천원을 내고 10만원을 쓰면 11만 5천원을 쓴것이 되고, 여기에서 6만원을 캐시백하면, 5만 5천원을 쓴 것이 됨, 5만 5천원을 쓰고 10만원을 얻는다면 괜찮은 조건 인 듯함. 단 내가 신한카드를 사용한 적이 없어야함. 또한, 발급 이후 잘 쓰다가 다음년도에 연회비 등이 부담될 경우 다른 K패스로 갈아타는 것도 방법이 될 것으로 보임.

    ② 케이뱅크-k패스체크카드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그냥 전월실적 없는 케이뱅크 MY체크카드(K패스) 쓰면서 K패스 할인혜택 적용받고, 가끔 건당 결제시 300원 할인 받는거도 괜찮은 것 같음.

    저의 선택은?? 티머니신한카드(K패스)의 경우, K패스는 그냥 사용하면 되겠으나 티머니혜택을 받으려면, 티머니앱 설치 및 등록까지 해야하고 핸드폰으로 태그하는것도 맘에 들지 않기에,, 저의 경우 1차적으로는 K뱅크K패스로 가겠습니다.


    👇👇👇다음 순차대로 카드발급 페이지와 이벤트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올려드립니다.

    👉 케이뱅크 K패스 + MY체크카드 발급 페이지 링크 바로가기

    ▷▶참고로 신한카드(티머니 PAYGO+K패스) 이벤트 페이지 링크를 올려드립니다. pc로 안되시는 분은 모바일로 열어야 될 수 있어요.

    👉 티머니 페이&고 신한카드+K패스 (신용카드) 첫가입 이벤트 페이지 가기

    👉 k패스 신한카드 (신용카드) 혜택 보기
    👉 k패스 신한카드 (체크카드) 혜택 보기

    나는 다른 K패스카드를 보고싶다 하는 분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K패스카드 전체 종류 보기

    👉 각 카드사별 k패스카드 이벤트 페이지 보기

    K패스 카드 발급 후 K패스 회원가입 하는법!

    카드번호 입력 후 > 약관동의 > 휴대폰 본인인증 > 주민등록번호 입력을 하면 가입이 완료 됩니다!

    k패스-온라인-회원가입-절차-사진
    출처: 한국교통공단 유튜브
    1. 회원가입 화면 진입 (홈페이지 또는 앱)
      👉 K패스 홈페이지 링크 바로가기
      👉 K패스 모바일앱 설치 바로가기 (안드로이드, 아이폰iOS)
    2.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16자리 입력 후, [유효성 체크] 클릭
    3. 필수약관 모두 동의 시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진행(PASS앱 또는 문자인증)
    4. 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
      • 거소사실여부 확인 불가 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1개월 이내 발급받은 주민등록등(초)본/국내 거소 사실 증명서(외국인)를 MY > 나의지자체 메뉴에 등록해주세요.
    5. 필수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

    K패스를 이용하여 버스/지하철 등을 이용하는 방법

    K패스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지하철 단말기에 태그를 해주시면 됩니다.

    *환급금액은 실시간으로 확인할수는 없으며, 대중교통 이용 후 최대 2주후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K패스 관련 문의사항 질문답변 정리!

    1. K-패스는 출발, 도착 버튼 안눌러도 되나요?

    K-패스는 출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습니다.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20~53%를 적립 후 지급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거리기반 적립금에서 이용요금 기반으로 변경되면서 앱 이용없이, 카드만 이용하시면 익월 5영업일에 정산하여 카드사로 지급요청됩니다.

    지급요청된 적립금액은 카드사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에게 지급됩니다!


    2. 경기도민 혜택(K패스-경기)은 무엇이 있나요?

    <더 경기패스 대상자> 주민등록지상 주소지가 경기도이며, K-패스 주소지가 경기도인 회원
    <더 경기패스 혜택>

    • 청년층 확대 : 만 39세까지 청년층 적립금액 적용
    • 지급 횟수 무제한 : 61회 이상 이용건도 무제한 지급

    3.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K-패스 회원이라면 회원의 거주지 외 전국 어디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외국인도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나요?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외국인에 한해 회원가입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등록번호 대신 외국인 등록번호를 입력해 가입 가능합니다.

    ▶외국인등록번호로 주소지를 검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앱에서는 외국인 등록번호로 거소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없을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경우에는 “K패스 홈페이지”에서 관련 서류를 업로드하고 가입을 하시면 됩니다.

    *관련 서류: 1개월 내 발급된 외국인 국내거소사실증명서 등록

    ● 가입 후 거주지 검증 방법 ●

    1.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해주세요. (앱에서는 거소사실여부 확인 불가시 가입이 어렵습니다.)
    2.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 해주세요.
    3. MY > 나의지자체 메뉴로 이동해주세요.
    4. [파일등록] 버튼을 눌러주세요.
    5. 국내거소사실확인서(외국인)를 등록해주세요.

    5. 경기도의 The경기패스, 인천의 I-패스 이용을 위해서는 별도 카드를 발급 받아야 하나요?

    경기도의 The경기패스, 인천의 I-패스는 K-패스의 일종으로, 현재 The경기패스나 I-패스 전용 별도 카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경기도민이나 인천시민은 K-패스 카드를 발급받아 회원가입만 하면 지자체 추가 혜택*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60회 초과분에 대해서도 혜택 적용, 청년 범위 확대(만 19~34세 → 만 19~39세)

    6. 기후동행카드(서울), The경기패스(경기), I-패스(인천) 등 지자체별 사업들이 다양한데 어떤 점이 다른가요?

    <서울>
    (기후동행) 환급이 아닌 사전결제형 무제한 정액권* 방식으로 서울시내 전철(김포골드라인 등 일부 서울시계 외 전철 적용), 서울시 면허버스, 따릉이 등에 적용 가능

    (일반) 따릉이 포함 시 6.5만원(제외 시 6.2만원)(만19세~39세 청년) 따릉이 포함 시 5.8만원(제외 시 5.5만원)
    ▶주로 서울시 안에서 전철이나 버스를 빈번하게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한 반면,
    ▶서울↔경기·인천 등 광역 통행자나 GTX·광역버스 이용자의 경우 전국 지하철·버스·GTX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 적용되는 K-패스 이용이 유리

    <경기, 인천>
    (The경기패스, I-패스) K-패스 혜택을 기반으로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사업
    ▶K-패스(청년층 만19세~만34세)와 달리 만 39세까지 청년 혜택을 제공받으며, 60회를 초과하는 이용 건에 대해서도 환급받을 수 있음

    문의사항 물어볼 수 있는곳, 연락처

    1. 한국교통안전공단 054-459-7441, 7442, 7446
    2.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044-201-5084, 5086
    3. K-패스 고객센터 031-427-4415

    한국교통안전공단의 K-패스 이용방법 유튜브 동영상보기

    <부마의 인기정보>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